[앵커]<br />요즘 국내 증시를 비롯한 세계증시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주가연계증권,즉 EL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시장이 20%, 30% 급락할 가능성이 낮다는 생각에 뭉칫돈들이 이쪽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ELS 이야기 좀 더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정철진 경제컬럼니스트와 함께 합니다.<br />우리가 지난 시간에 마지막으로 살펴봤던 게 '낙인형'과 '노 낙인형' ELS였죠? 간단하게 정리해보고 갈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우선 낙인(Knock In)이라는 단어 뜻을 정리해야 합니다.<br /><br />바로 원금손실기준을 말하는데요, ELS는 원금손실 구간 존재 여부에 따라 2가지로 나뉩니다.<br /><br />한 번이라도 원금손실구간(Knock-in)에 들어가면 원금보장이 사라지는 'Knock-in형'과 중간의 가격 변동과 상관없이 만기까지 가격약속만으로 수익이 결정되는 'No Knock-in형'이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지난번에 말씀하신 부분이 기억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시중에는 '낙인형'보다는 '노 녹인형'이 더 안전하다, 그래서 무조건 '노 낙인형'으로 가입해야 한다, 이런 조언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맞는 이야기인가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정답은, '세모'라고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론 이론적으로는 '노 낙인형'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.<br /><br />가령 '낙인형'은 만기가 되기 전에 처음 정한 원금손실기준, 즉 낙인 밑으로 가면 이제 만기까지 기다려야 하고, 또 가격이 마지막 상환 조건까지 올라올 걸 긴장하며 지켜봐야 합니다.<br /><br />반면, '노 녹인형'은 가격변동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고, 상대적으로 만기 상환조건도 넉넉하게 책정되거든요.<br /><br />하지만 가격이 폭락할 경우, '낙인형', '노 낙인형' 모두 예외는 없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, '노 낙인형'은 '낙인형'보다 제시 수익률이 떨어지고요.<br /><br />그래서 "무조건 '노낙인형'으로 가입하라"는 조언은 세모 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럼 이건 어떻습니까. "ELS를 가입할 때는 '종목형'보다 '지수형'으로 가입하라" 이건 올바른 조언인가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이 조언에 대해서는 동그라미를 주고 싶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07년~2009년경 ELS를 가입하셨던 분들은 기억나시겠지만, 당시엔 개별 종목 2~3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경우 2008년말 세계금융위기를 지나면서 문제가 터졌는데요.<br /><br />개별종목은 전체 시장보다 하락장에 낙폭이 훨씬 더 크고, 여기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40416452140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